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유아기 저작근 발달과 뇌신경 연결

by 괴물인형 2025. 4. 11.
반응형

유아기의 저작근(턱 근육) 발달은 단순히 음식 섭취를 넘어서 두뇌 기능, 인지력, 언어 능력까지 다양한 발달 영역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저작근의 자극은 뇌신경 회로를 강화시키고,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에 있어 중요한 기초가 된다고 밝혀지고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유아기 저작근 발달이 뇌신경 연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과학적 근거를 통해 상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저작근 발달

유아기의 저작근 발달은 턱 근육을 포함한 안면 근육들의 성장과 기능 강화 과정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출생 직후 아기는 주로 수유를 통해 근육을 사용하고 있지만, 생후 6개월부터 고형식을 도입하면서 본격적인 저작근 자극이 시작됩니다. 이 시기의 저작 활동은 단순한 씹는 행동을 넘어서 뇌의 여러 부위를 자극하고 연결하는 중요한 과정이기도 합니다. 저작근은 해부학적으로 측두근, 교근, 내측익돌근 등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이들 근육은 뇌신경 중 하나인 삼차신경(Trigeminal Nerve)에 의해 지배됩니다. 삼차 신경은 뇌와 턱 사이의 감각 및 운동 기능을 연결하는 중요한 경로이며, 저작근 활동이 활발할수록 이 신경이 더욱 활성화됩니다. 실제로 일본과 독인 등 여러 선진국의 연구에서는 저작 활동이 아동의 뇌혈류량을 증가시키면서 전두엽 및 해마(기억력과 학습을 관장하는 부위)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저작근 발달은 단지 얼굴 구조나 구강기능에 국한되지 않고, 전반적인 두뇌발달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2. 뇌신경 연결과 저작근 자극의 상관관계

저작근의 활동은 단순한 씹기 동작을 넘어, 뇌의 기능적 연결성을 강화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씹는 동안 활성화되는 삼차신경은 뇌간(Brainstem)을 통해 대뇌피질과, 해마, 소뇌 등 다양한 영역으로 신경 자극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신경 전달 경로는 유아기의 두뇌가 구조적으로 형성되고 기능적으로 조직화되는데 큰 영향을 미칩니다. 대표적으로는, 반복적인 저작 활동은 전두엽의 혈류량을 증가시키며, 이는 주의력과 판단력, 문제 해결 능력 등의 발달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두엽은 인간의 고등 사고 기능을 담당하는 부위로, 유아기부터 자극을 많이 받을수록 더 건강하게 성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저작은 해마와 시상하부 등 기억력과 감정 조절에 관여하는 뇌 부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유아기 저작근 활동이 활발할수록 장기기억과 감정 조절 능력이 개선된다는 연구 결과도 다수 보고 되고 있으며, 이는 향후 학습 능력 및 사회성 발달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저작 활동은 스트레스를 낮추고 코르티솔 수치를 안정화하는 데도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이는 씹기라는 반복 자극이 뇌에서 안정감을 유도하는 세로토닌 분비를 촉진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저작근 자극은 신체적 성장뿐 아니라 심리적 안정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발달지연 예방을 위한 실천 방법

유아기의 저작근 발달을 촉진하고 뇌신경 연결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일상 속에서 다양한 실천이 필요로 합니다.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적절한 이유식과 고형식의 도입입니다. 초기 이유식 단계를 지나면서 너무 부드러운 음식에만 의존하게 되면, 턱 근육 자극이 부족해질 수 있습니다. 반면, 점차적인 식감 변화와 자가섭식을 유도하는 식습관은 저작근 발달에 긍정적입니다. 또한, 아기용 젖병과 컵의 사용 방식도 중요합니다. 젖병 사용 시 빨기만으로 음식을 섭취하게 되면 저작활동이 생략되기 쉬운데, 이 경우 턱 근육이 덜 사용되어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가능한 한 빨리 컵 사용을 도입하고, 스스로 씹고 삼키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 좋습니다. 치과 및 소아 발달  전문가들은 고형식 섭취 외에도 특정 장난감이나 씹는 도구를 활용한 턱근육 운동도 추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말랑한 실리콘 재질의 치발기나 씹는 블록 등을 통해 안전하게 저작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부모의 관찰과 반응입니다. 아이가 음식을 먹을 때 어떤 표정을 짓고 있는지, 잘 씹는지, 턱의 움직임이 균형적인지 등을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발달 지연을 조기에 발견하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결론

유아기의 저작근 발달은 단순히 식사의 편의를 넘어, 뇌신경 연결과 전반적인 두뇌 기능 향상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삼차 신경을 통한 신경 자극, 전두엽 및 해마의 활성화, 심리적 안정 효과까지 저작 활동의 긍정적인 면은 무궁무진합니다. 유아기 식습관과 생활 습관을 통해 이러한 저작근 발달을 도와주고, 조기 개입을 통해 건강한 성장 기반을 마련해 주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